희토류 의미 뜻 생산국가 미국 중국

희토류란?

“희토류”

 

안녕하세요 포그비엠 입니다. 혹시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라는 말을 들어 보신 적 있는 신가요? 이 말은 실제 중국의 유명한 지도자였던 덩샤오핑이 1992년에 했던 말입니다. 이 말은 희토류가 가지는 가치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희토류의 최대 생산국가인 중국이 다른 국가와 늘 분쟁이 있을 때마다 희토류를 최고의 무기로 활용을 하였습니다. 그만큼 희토류의 가치가 높다는 것인데 왜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희토류의 가치가 높은지 그리고 향 후 방향에 대해서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희토류란?

 

 

 

“희토류”

희토류는 'Rare Earth Element'를 그대로 직역하여 희귀한 토양이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희토류는 저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희토류는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지닌 17개 원소(원소 번호 57~71번에 속하는 15개 원소와 스칸듐·이트륨으로 총 17개의 원소)를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희토류의 원소 자체가 희귀한 것은 아닙니다. 심지어 우리나라에서도 홍천, 충주에도 매장이 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남극을 제외하고 희토류는 대부분 보유를 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희토류”
희토류 제조공정

 

하지만, 희토류의 가치가 높은 것은 고순도의 제품으로 정련하는 방법이 어렵고 체취를 위해서 많은 환경오염이 따라오기 때문입니다. 정제 과정에서 쓰인 염산, 초산을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막대한 화학물질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희토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4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풍부한 매장량

2) 저렴한 인건비

3) 환경보험 무시

4) 통제가 되는 값싼 노동자

 

위 조건들을 충족하는 나라는 개발 도상국들만이 해당이 되고 실제 중국, 브라질, 콩도 등 개발 도상국 나라들이 실제 제일 실제 선진국들은 자국에 희토류가 없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생산이 가능 하지만, 자국에서 생산 시 극심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작업자들에게 고임금을 줄 경우 이익이 나지 않기 때문에 생산을 하지 않고, 개발도상국에서 값싸게 수출한 희토류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 희토류 생산기지

 

처음에 언급되었던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는 1992년 덩샤오핑이 장시성을 방문하였을 때 했던 말로서 장시성은 중국 최대의 희토류 지역입니다. 위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은 전 세계 최고의 희토류 매장량과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희토류”

 

중국의 희토류 매장량은 2020년 기준 4,400만 톤으로, 전 세계 희토류(1억 2,000만 톤)의 37%가 중국에 묻혀 있습니다. 이에, 중국은 일찍 희토류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국가적을 희토류에 투자를 진행하고 맞물린 성장기와 함께 전 세계 희토류 수출국 1위가 됩니다.

 

“희토류”

 

중국의 희토류가 전 세계의 영향을 제일 강했던 시절은 2010년입니다. 그 시절 전 세계 공급량의 98%가 중국에서 공급이 됩니다. 그러면서 국가별 문제가 있을 때마다 중국은 희토류를 무기로 하여 반대편 국가를 압박하게 됩니다. 2010년에 중국과 일본은 센카쿠 지역에서 영유권 대립 상황이었는데 일본에서 중국 선원을 구금하였던 일이 발생을 합니다. 그러자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일본에 희토류 수출을 금지시킵니다. 이에, 일본에서는 자국 산업의 타격을 줄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구금하였던 선원을 석방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서 중국은 희토류라는 새로운 무기를 가지게 된 것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희토류”

 

그러면서 중국은 미국과 대립하는 상황에서도 희토류를 무기로 압박을 하게 됩니다. 실제 미국은 희토류 수입의 80%를 중국에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압박을 할 수 있는 좋은 무기였습니다. 화훼이 문제 또는 정치적 대립이 있을 때 희토류 언급이 있었지만, 실제 수출 금지를 하지는 않았습니다. 중국에서도 실제 수출 금지를 하게 될 경우 받을 수 있는 타격이 결코 작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미국은 2010년 일본 사태와 여러 차례 실제 압박을 받으면서 희토류 정련 공정을 자국 내에 설치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 블루라인라는 업체와 호주 라이너스라는 업체가 미국에 건설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지고도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가 등장하기 전에는 자국 내에서 희토류 생산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극심한 환경오염 및 중국의 저렴한 희토류에 현재는 자국 생산을 하지 않고 있지만, 만약 정련 공장을 자국 내에 건설을 한다면 중국의 입지는 상당히 좁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위상은 예전만 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위 표에 있듯이 2010년 98%의 점유율에서 2020년 58%까지 점유율이 하락을 하였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을 본 다른 국가들이 공격적으로 희토류 생산에 투자하여 시장 점유율을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생산량도 2020년 기준 13만 8,000톤에서 30년 후인 2050년에는 6만 7,000톤으로 절반 이상 점유율은 계속 적으로 하락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희토류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국가들이 지나치게 높은 중국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 노력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희토류의 향 후 전망은 아직 알 수 없는 단계입니다. 중국의 선두 체제에서 과연 향 후에는 다른 국가들의 생산량 증가, 대중 의존도 하락을 위한 노력 등 여러 가지 상황이 복합적으로 얽히게 되면서 아직까지 시장 전망이 명확하게 나온 것은 없으며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명확한 것은 중국의 희토류 시장 1위는 당분간은 계속 유지를 하겠지만 위태로운 1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